들어가는 말
심장과 뇌의 건강을 지키는 핵심은 바로 혈관 건강입니다. 혈관에 혈전이 생기면 피의 흐름에 문제가 생기고, 심하면 심근경색, 뇌경색, 뇌출혈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뇌경색 환자 수 급증...50~60대도 안심할 수 없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22년 뇌경색 진료 인원은 약 52만 명에 달했습니다. 뇌졸중의 약 87%를 차지하는 뇌경색은 뇌로 가는 혈관이 막히면서 뇌세포에 손상을 주는 병입니다. 생명을 건진다고 해도 마비 등의 장애가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예방이 중요합니다.
양배추, 브로콜리 속 설포라판… 혈전 예방에 효과적
식습관이 혈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큽니다. 특히 양배추는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푸른 잎에 풍부한 설포라판(Sulforaphane)은 혈관 속의 특정 단백질을 활성화시켜 혈전을 막고, 염증과 산화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해 뇌졸중과 심장병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설포라판은 브로콜리, 케일 등 십자화과 채소에도 풍부합니다.
양파와 마늘, 혈관의 청소부 역할
양파와 마늘도 혈관 건강에 탁월한 식품입니다. 이들에 함유된 알리신(Allicin)은 혈관 속 노폐물을 분해하고, 양파의 퀘르세틴은 콜레스테롤이 혈관 벽에 쌓이는 것을 막아 고혈압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크롬 성분은 혈당 조절에 효과적이어서 당뇨 예방에도 좋습니다. 고기를 먹을 때 양파나 마늘을 곁들이면 혈관에 나쁜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생활습관이 혈관을 살린다
식습관 외에도 혈관 건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생활습관이 필요합니다:
-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점검하기
- 흡연 금지 – 간접흡연도 반드시 피해야 함
- 염분 줄이기 – 국물, 젓갈류, 짠 음식 제한
- 채소, 생선 섭취 늘리기 – 오메가3와 식이섬유가 풍부
- 주 5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
증상이 있다면 즉시 119
뇌졸중의 전조 증상인 한쪽 팔다리 마비, 갑작스런 언어장애, 심한 두통이 발생하면 지체하지 말고 즉시 119에 신고하여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빠른 대처가 생명을 살리고, 후유증을 줄이는 열쇠입니다.
마무리하며
혈관은 우리 몸의 생명선입니다. 오늘부터라도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돌아보고, 뇌와 심장을 건강하게 지키는 실천을 시작해보세요. 매일의 작은 선택이 건강한 미래를 만듭니다.